밤알바, 그리고 기생과의 상관 관계

미수다
미수다
밤알바 이미지

현대 사회의 밤알바, 과거의 예인 또는 예술인이었던 기생과의 비교

고전시대의 밤알바, 기생의 대해 알아보자.

현대 사회의 밤알바 언니들이 원래는 예술인 취급을 받았었는데, 조선 후기로 갈수록 사회기강이 무너지자 그 의미가 퇴색되고, 일제강점기에는 일제에 의해 안좋은 취급을 받게 된다.

이에 조선시대에 ‘선비문학’을 제외한 예능은 전부 천한 것으로 치부했다는 것과 결합하여 오해가 더 심해진 경향도 있다.

이는 기생 외의 예술에 있어서도 그렇다. 이례로 그 당시 사군자, 풍경화를 제외한 그림들, 대표적으로 민속화 등은 ‘환’을 친다라고까지 표현했다.

유흥알바, 고거의 기생들 중 유명한 기생으로는 황진이, 논개, 운심, 홍낭, 이매창 등이 존재했고, 소설에서는 춘향, 추월(이춘풍전) 등이 유명하다. 참고로 어우동은 기생이 아니다. 오히려 왕족과 혼인한 명문 종갓집의 영애였다.

조선시대에는 사신이나 북방 관리에게 기생을 두어 접대하게 하는 것이 암묵의 룰이었다.

‘반계수록’에는 “오늘날 관아에서 창기를 길러 사객이 오면 얼굴을 단장하고 옷차림을 화사하게 하여 그를 접대하게 하는데, 술을 따라 권하고 악곡을 연주하여 흥을 돋우니 이름하여 방기라 한다.”

이처럼, 관아에서 접대를 위한 창기를 양성했음을 시사했다. 

병자호란 직후에 청나라에서 과도하게 기생의 시침을 요구했는데, 이에 반발한 기생들은 자살하여 항거했다고 한다.

벼슬아치에게 딸린 방기의 생활은 간혹 기생으로서 큰 연회같은 데에 동원된다는 것 빼고는 일반 어염집 아낙과 크게 다를 바 없었다고 한다.

자기가 모시는 군관에게 지급되는 양료로 살림을 하며 지냈다고 한다.

과거 기생들의 수준을 엿보자.

일부 선비는 도저히 수준이 맞는 사람이 없다며 기생과 학문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등 지적 교류를 나눴다고 한다.

실제로 기생, 특히 상류에 해당하는 일패들은 지적 수준이 매우 높았다. 지역에 따라 용비어천가나 유교 경전 등을 읊었고, 기생문학이 따로 남아있을 만큼 그녀들이 시를 쓰는 것도 흔했다. 

이는 당연한 것이, 이패기생이나 삼패기생 같은 중하급이 아닌 이상 상대하는 손님들은 모두 상당한 학식을 지닌 선비들이며, 이들은 놀 때도 시를 읊고 사군자를 그리거나 학문과 나랏일에 대해 토의하는 것이 흔했다.

그러니 기생도 당연히 이에 맞춰 많은 공부를 해야 했다. 안동의 기녀는 대학을 암송하고, 관동의 기녀는 관동별곡을 읊고, 함흥에서는 출사표를, 영흥에서는 용비어천가를 읊었다. 북방이나 제주도에서는 말을 타며 기예를 뽐냈다 한다.

조선은 장신구까지 제재할 만큼 사치 금지법이 엄격했는데, 룸알바, 오늘날의 기생들은 이에 대해 몇 안 되는 예외 대상이었다.

그렇기에 이들이 입는 양식의 옷과 화장은 금세 유행되었다. 하지만 일반인들은 사치금지법에서 자유롭지 못해 그대로 퍼지지는 못했다.

미수다에서는 오늘나릐 밤알바와 기생에 대해 알아 보았다. 더많은 유익한 정보를 원한다면 미수다 사이트에서 확인 하길 바란다.